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PI D-day, 21:30까지 숨 참고 대기

by 금융 경제 주식 부동산 환율 2025. 8. 21.

CPI D-day, 21:30까지 숨 참고 대기에 대한 정보입니다. 달러/원 환율은 미국 CPI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이며 1,388.0원에 마감했으며, 야간장에서는 달러 강세로 1,390.5원까지 소폭 상승했습니다. 역외 NDF 환율도 1,388.15원에 형성되며 CPI 경계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금일 환율은 1,390원 부근에서 보합 개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증시 호조와 위안화 강세 시 1,380원대 제한적 하락을 시도할 전망입니다.

CPI D-day, 21:30까지 숨 참고 대기
CPI D-day, 21:30까지 숨 참고 대기

CPI D-day, 21:30까지 숨 참고 대기

글로벌 시장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 불확실성과 미국 CPI 발표 경계가 달러 강세를 이끌었고,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관세를 90일 추가 유예해 위험 선호를 자극했습니다. 다만 하반기에는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해외 투자 수요 확대, 관세 부담, 대미 투자 요구 등으로 외환 수급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글로벌 달러 약세 환경에서도 달러/원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달러/원 환율] CPI 경계에 혼조, 미·중 합의 등 위험 선호에 제한적 하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 물가 지표에 대한 경계가 이어지는 가운데, 장중 미 달러화 약세 및 중국 위안화 강세에 연동하며 1,385원까지 하락. 이후 경계 심리로 인해 추가 하락은 제한되며 1,380원대 후반에서 등락. 오후 장에서는 뚜렷한 방향성 없이 혼조세 보이다가 전일 종가 대비 1.6원 하락한 1,388.0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 경계에 따른 달러 강세에 소폭 상승하며 1,390.5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2.65원 상승한 1,388.15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90원 부근에서 보합권 개장 예상. 금일 21:30 발표될 미 CPI에 대한 경계에 달러 혼조, 이에 환율도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할 전망. 다만 미·중 관세 유예 합의에 따른 위험 선호 심리가 원화에 힘을 실어줄지가 관건. 금일 환율은 보합권 개장 이후 미 CPI 경계에 방향성은 부재할 전망이나, 국내 증시 호조나 중국 위안화 강세 시 제한적 하락 시도 예상.

[글로벌 동향] 미 CPI 경계에 달러 강세, 미·중은 90일 관세 유예 합의

전일 미 달러화는 러·우 휴전 불확실성과 미국 물가 지표 경계에 강세 시현.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25% 상승한 98.51pt 기록. 15일 미·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주요국 관계자들은 러시아에 강경한 발언. 유럽연합(EU)의 외교안보 관계자는 러시아가 무조건적인 휴전에 동의해야 한다고 언급.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가 어떤 보상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발언.
이 같은 강경 발언에 러·우 휴전 합의 불발 가능성이 커지며 유로화는 약세. 금일 21:30에 발표될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경계는 미 국채 금리 상승에 기여. 컨센서스에 따르면, 7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0% 상승으로 전월치(+0.2%, +2.9%)보다 상승 폭 확대 예상.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관세를 90일 추가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지난 5월 미·중 양국의 115%p 관세율 인하 조치는 이번 행정명령으로 11월 9일까지 연장.

[마켓 이슈] 하반기부터 달라질 수 있는 외환 수급 여건, 달러/원에 노이즈

올해 우리나라의 외환 수급 여건은 5월 처음으로 순유입 전환된 이후 6월에도 순유입 기조가 이어진 것으로 확인. 외환 공급의 상당 부분은 수출과 수입의 차이인 경상수지 흑자에서 비롯(6월 142.7억 달러). 하지만 동 기간 직접 투자 및 증권 투자 부문에서 각각 31.8억 달러, 44.4억 달러의 외환 순유출이 발생하며, 5월 대비 순유입 규모가 감소(5월 90.2억 달러 → 6월 66.5억 달러).
지난 7월 수출 호조와 외국인의 국장 유입을 고려하면 7월 수급 여건도 순유입 기조 유지가 예상(8/6일 FX 시황 자료). 하지만 8월 상호 관세 발효에 따른 수출 둔화, 국내 투자자의 지속적인 해외 투자 수요, 그리고 미국이 한국에 요구한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등을 감안하면, 향후 외환 순유입 규모는 더욱 줄어들거나 순유출로 전환할 가능성. 이는 앞으로 글로벌 달러가 약세인 상황에서도 달러/원의 하단을 지지하는, 일종의 수급 노이즈로 작용할 소지. CPI D-day, 21:30까지 숨 참고 대기와 관련된 포스팅이었습니다.

달러 원환율, 6개월 예측 3가지 시나리오